SEARCH

검색창 닫기

갈 길 먼 100세시대 노후준비···“서울 중장년 10명 중 5명만 노후준비돼 있어”

서울시50플러스재단, 중장년층 근로형태별 노후준비 조사

서울 중장년층, 67.6세 은퇴 연력으로 인식

유연한 일자리 탐색 및 지원 기회 필요

이미지=서울시


서울에 살고 있는 중장년층의 노후준비가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50플러스재단에서 최근 조사한 서울시민의 노후준비 현황과 근로형태에 따른 노후준비지수와 유형에 따르면 서울시 중장년층 10명 중 5명 정도면 노후준비가 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서울시 중장년층의 노후준비지수는 55.67점(100점 기준)으로 전국 54.62점 대비 다소 높지만, 노후 준비가 여전히 부족했다.

서울시 중장년층이 예상하는 은퇴 연령은 평균 67.61세로 전국 평균(66.67세)보다 0.94세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 생활비 준비 여부에 대해서는 서울시 중장년층 50.73%가 준비했다고 응답했으나, 프리랜서와 임시직?일용직 임금근로자는 각각 44.71%, 42.31%에 그쳤다.

세부적으로는 근로 형태에 따라 노후 준비 현황이 다르게 나타났다. 재무적 노후 준비도는 소상공인이 가장 높았고, 비재무적 노후 준비는 상용직 임금근로자가 가장 양호했다.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는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재무적 노후준비도가 가장 높았다. 노후준비의 정도는 개인의 주관적 판단에 따른 것이어서,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가 필요로 하는 노후자금 총액 자체가 상용직 임금근로자보다 적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재무적 노후준비도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가 높게 나타나는 것이다. 반면 비재무적 노후준비는 다른 집단에 비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건강 및 사회참여활동 관련 노후준비지수가 좋지 않았다.

이미지=서울시


유형별로는 준비부족형(31.8%)과 균형준비형(29.6%)이 비슷하게 나타나, 상용직임금근로자 안에서도 직업별로 노후준비가 양극화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서울시50플러스재단은 근로형태에 따른 노후준비 방법도 함께 제안했다. 퇴직 후에도 노후생활비를 마련하기 위해 근로활동을 지속해야 하는 임시직?일용직임금근로자의 경우, 노후준비지원기관을 활용해 일과 사회적 관계를 동시에 충족해야 한다. 따라서 시 역시 유연한 일자리 탐색 및 지원 기회, 체계적 직업훈련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비재무적 노후준비가 취약한 자영업자 및 소상공인의 경우, 노후준비지원기관을 통해 지역사회 기반 다양한 사회공헌활동, 일?활동과 연계된 평생교육과정을 제공받을 필요가 있다.
정혜선 기자
doer0125@sedaily.com
< 저작권자 ⓒ 라이프점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메일보내기

팝업창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