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검색창 닫기

부자들 "코인보다 주식···100억은 있어야 진짜 부자"

■KB금융 '2021 한국부자 보고서'

금융자산 10억이상, 1년새 4만명 ↑

10명 중 7명 서울 등 수도권 집중

부자의 부자 기준, 年 소득 3억 이상

"주식투자 늘렸다" 작년比 28%→40%

암호화폐 투자 의향은 3.3% 그쳐

/연합뉴스


금융 자산 10억 원 이상을 보유한 사람을 ‘한국의 부자’로 정의했을 때 그 수가 1년 새 약 4만 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부자는 장기 고수익이 예상되는 투자처로 주식을 가장 많이 꼽았다. 반면 암호화폐 투자는 손실 위험이 크다며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KB금융이 발간한 ‘2021년 한국 부자 보고서’에 따르면 부자의 수는 지난 2020년 말 39만 3,000명으로 1년 전에 비해 3만 9,000명(10.9%) 늘어났다. 한국 전체 인구 대비로는 0.76% 정도로 전년 말 대비 0.07%포인트 증가했다. 증가율은 2017년(14.4%)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높았다. 보고서는 “코스피지수가 2019년 말 2,198에서 지난해 말 2,873으로 30.8%나 급등하면서 주식 가치가 상승해 부자 수도 크게 늘어났다”고 분석했다. 올해로 11년 차를 맞은 이번 보고서는 올해 6월 1일부터 6주간 금융 자산 10억 원 이상 부자 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와 일대일 심층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작성됐다.



심층 조사에서 응답자들이 제시한 부자의 총자산 기준은 100억 원 이상이 40.3%로 가장 많았다. 최소 소득 기준은 연간 3억 원을 제시한 부자(34.5%)가 가장 많았다. 금융 자산 10억 원 이상인 부자들은 총자산으로는 100억 원 이상, 소득은 연간 3억 원 이상이 돼야 부자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자산 종류별로는 총자산 중 부동산 자산 50억 원 이상, 금융 자산 30억 원 이상, 회원권·예술품·금 등 기타 자산 5억 원 이상을 보유한 사람이 부자라는 인식도 있었다.

한국의 부자들은 10명 중 7명이 수도권에 살고 있었다. 서울에 45.5%인 17만 9,000명이 거주하고 경기도에 8만 6,000명, 부산에 2만 9,000명, 대구에 1만 8,000명 순이었다. 서울과 경기, 인천을 포함한 수도권에 70.4%가 집중됐다.

이들이 보유한 금융 자산도 빠르게 불어났다. 지난해 말 기준 한국 부자가 보유한 총 금융 자산은 2,618조 원으로 1년 새 21.6% 급증했다. 증가율은 사상 최고다. 세부적으로 금융 자산 300억 원 이상인 ‘초고자산가’는 7,800명이었고 이들의 1인당 평균 금융 자산은 1,550억 원에 달했다. 금융 자산 100억~300억 원인 ‘고자산가’는 2만 8,000명, 1인당 평균 금융 자산은 176억 7,000만 원이었고 자산 10억~100억 원인 ‘자산가’는 35만 7,000명, 1인당 평균 금융 자산은 66억 6,000만 원을 나타냈다.

부자의 자산 포트폴리오는 어떻게 구성돼 있을까. 부동산 자산이 58.2%, 금융 자산이 36.3%, 회원권과 예술품 등 기타 자산이 일부를 차지했다. 부자의 금융 자산 비중은 일반 가구(17.1%)에 비해 2배 이상 높았다.

올해 부자가 가장 많이 선택한 금융 투자 자산은 단연 주식이었다. 주식 투자 금액을 늘렸다는 응답은 지난해 28.3%에서 올해 40.0%로 상승했고 펀드 역시 투자 금액을 늘렸다는 대답이 11.8%에서 14.3%로 올랐다. 올해 주식에 투자한 부자 중 59.0%, 펀드에 투자한 부자 중 33.7%가 수익을 경험했다. 또 부자 중 31%가 향후 주식 투자 금액을 늘릴 계획이 있다고 대답했고 58.5%는 투자를 유지하겠다고 답했다. 투자를 축소하겠다는 응답은 10.3%에 그쳤다. 향후 고수익이 예상되는 투자처에 대한 질문(복수 응답)에도 가장 많은 60.5%가 주식을 꼽았고 다음은 펀드(19.0%), 금·보석 등(15.0%), 투자 및 저축성 보험(12.3%), 채권(5.5%), 예술품(1.5%) 순이었다.

암호화폐에 대한 부자들의 인식은 상당히 부정적이었다. 부자 중 앞으로 암호화폐에 투자할 의향이 있다는 대답은 3.3%에 그쳤다. 상황에 따라 의향이 있다는 응답이 26.8%, 투자하지 않을 것이라는 대답이 70.0%에 이르렀다. 자산 규모별 투자 의향을 보면 30억 원 미만 부자가 4%, 30억 원 이상 부자가 1%를 기록해 자산이 많을 수록 암호화폐 투자에 더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투자를 꺼리는 이유(복수 응답)는 투자 손실 위험이 커서(50.7%)가 1위, 암호화폐거래소를 신뢰할 수 없어서(34.3%)가 2위, 암호화폐에 대해 잘 몰라서(32.9%)가 3위였다.

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개인투자자를 말하는 ‘서학개미’ 열풍이 계속되는 가운데 부자들도 해외 자산 투자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부자의 29.3%가 향후 해외 자산 투자 의향이 있다고 했고 현재 해외 자산에 투자하고 있는 부자는 해외 펀드(75%)와 해외 주식(53.3%)을 주요 투자처로 꼽았다(복수 응답). 미술품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현재 미술품에 투자하고 있는 부자의 비율은 4.8%에 그쳤지만 미술품 투자에 관심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14.0%로 현재 투자 비율보다 높았다.

부자는 부를 어떻게 축적했을까. 현재의 자산을 축적할 수 있었던 원천을 물은 결과 사업소득이 41.8%로 1위였고 부동산 투자가 21.3%, 상속 및 증여가 17.8%, 금융 투자가 12.3%였다. 근로소득은 6.8%에 그쳤다.

이번 보고서는 금융 자산 5억 원 이상~10억 원 미만을 보유한 개인을 ‘한국 준부자’로 정의하고 이들 200명의 특성도 조사했다. 준부자의 포트폴리오는 부동산 자산이 70.5%, 금융 자산이 24.4%, 기타 자산이 5.1%로 부자에 비해 부동산 비율이 높았다. 준부자의 주된 자산 관리 관심사로는 부동산 투자가 55%로 가장 높았고 경제 동향 정보(41.0%), 금융 상품 투자(38.5%) 순이었다.
이태규 기자
classic@sedaily.com
< 저작권자 ⓒ 라이프점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메일보내기

팝업창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