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검색창 닫기

'몇 살부터 노인일까' ···서울시민에 물으니 이렇게 답했다

‘2024 서울서베이’ 결과

서울시민 10명 중 9명이 정년 연장 찬성

게티이미지뱅크


노인 기준 연령은 현재 법적으로 65세지만 서울시민들이 실제로 노인이라고 느끼는 나이는 평균 70.2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가 9일 발표한 ‘2024 서울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서울시민 5000명에게 질문해 보니 서울시민들은 70.2세부터를 노인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65세 이상의 고령 응답자들은 노인의 기준을 72.3세라고 답해 전체 평균에 비해 2.1세 높았다.

아울러 응답자의 87.8%가 정년 연장에 ‘동의한다’고 밝히는 등 서울시민 대다수는 정년 연장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 시기는 ‘65~69세’가 적정하다는 응답이 40.5%로 가장 많았다. 은퇴 후 적정 월 생활비로는 ‘월 250만원 이상’이라는 답변이 53.3%로 절반을 넘었다.

65세 이상 시민은 노후 희망 활동으로 ‘취미와 교양 활동’(78.8%)을 선호했다. 이어 ‘소득 창출’(70.3%), ‘손자녀 양육’(33.5%) 순이었다. 또 노후 희망 동거 형태로는 ‘자녀와 함께 사는 것’(4.7%)보다 ‘자녀들과 가까운 독립된 공간에서 혼자 사는 것’(64.8%)을 원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서울 전체 가구의 39.3%는 1인 가구였다. 1인 가구 연령대는 60세 이상이 40.6%로 가장 많았고, 20~30대가 34.9%, 40~50대 24.5% 순이었다.

1인 가구의 가장 큰 어려움은 ‘균형 잡힌 식사’가 4.79점으로 가장 높았고 △아프거나 위급시 대처(4.71점) △가사(4.69점) △다른 사람들로부터 고립되어 있어 외로움(4.43점) △부양해주는 가족이 없어 경제적 불안(4.17점)이 뒤를 이었다. 특히 남성은 ‘가사의 어려움’(4.97점)과 ‘균형 잡힌 식사의 어려움’(4.94점)이, 여성은 ‘아프거나 위급시 대처하기 어려움’(4.85점)과 ‘다른 사람들로부터 고립되어 외로움’(4.53점)이 상대 성별에 비해 높았다.

2024 서울서베이 조사 분석 결과 보고서는 서울 열린데이터광장 누리집에서 열람 및 내려받을 수 있다.

정예지 기자
yeji@rni.kr
< 저작권자 ⓒ 라이프점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메일보내기

팝업창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