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검색창 닫기

“퇴직 후에도 오래 살 걱정에 소비보다 저축”···재고용 활성화 등으로 소비둔화 막아야

KDI ‘인구 요인이 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보고서

라이프점프 DB


기대 수명은 매년 증가하지만 주된 직장에서 퇴직하는 연령대에는 큰 변화가 없다 보니 은퇴 후 사망에 이르기까지 시간은 길어지기 마련이다. 이 때문에 길어진 노후를 대비하려는 목적으로 저축 등 돈을 아끼려는 심리가 강화되면서 외려 소비가 줄어든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23일 발간한 ‘인구 요인이 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년간 연평균 민간소비 증가율은 3.0%로, 연평균 국내총생산(GDP) 성장률(4.1%)보다 낮았다. 2004년부터 2024년까지 우리나라의 기대 수명은 77.8세에서 84.3세로 약 6.5세 증가한 반면, GDP 대비 민간 소비의 비율을 뜻하는 평균 소비 성향은 7.8%포인트 하락했다. 특히 50~60대의 평균 소비성향 하락의 기여도가 3.9%포인트로 전체의 절반을 차지했다.

소비 성향 하락 원인으로는 퇴직 연령과 기대 수명의 차이가 꼽혔다. 생애 주된 일터에서 퇴직하는 시기는 지난 20년간 큰 변화가 없지만, 기대 수명이 빠르게 증가하며 퇴직 후에도 여생을 위해 저축을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 소비가 줄어든다는 설명이다.

다만 보고서는 기대 수명 증가세가 둔화하고, 고령 인구가 급증하는 시기가 도래하면 소비 성향이 다시 반등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초고령층은 저축보다 소비 성향이 상대적으로 강하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기대 수명 증가에 맞춘 퇴직 시점 조절을 제안했다. 구체적으로는 정년퇴직 후 재고용 제도를 활성화하는 등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를 제약하는 구조적 요인을 해소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고 봤다.

이채은 기자
sub001408@rni.kr
< 저작권자 ⓒ 라이프점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메일보내기

팝업창 닫기